보호시설의 아이들은 성인이 되면 시설을 나와 자립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어린 나이에 돈을 벌기도, 홀로 생활을 꾸려가기도 막막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이들을 위한 중장기 5개년 계획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3살 이예지 씨는 3년 전 대학 진학과 함께 보호시설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시설은 아이들 중심의 단체생활 공간이다 보니 학업에 집중하려 '자립'을 결정했지만, <br /> <br />홀로 밥을 먹고 생활비를 벌며 살림을 꾸린다는 건 생각지도 못한 난관의 연속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예지 / 자립준비청년 : 수술하러 들어갔던 지인이 있었는데 그 지인이 이제 금액도 너무 부담이 됐고요. 수술하려면 보호자가 꼭 필요하잖아요. 근데 그 보호자가 친구들 그냥 끌어와서 (저도 걱정되더라고요.)….] <br /> <br />18세면 성인이라지만, 사회생활과 동시에 모든 걸 홀로 책임져야 한다는 압박감이 크다 보니 자립준비청년 가운데 46%는 우울 고위험군이고 넷 중 하나는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이예지 / 자립준비청년 : 힘들어도 이겨낼 수 있다는 생각보다 '아, 내가 의지할 사람이 없네'라는 그런 좀 허망감이 있는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사실상 자립이란 이름으로 '고립'되고 만 건데 서울시가 이들의 안정적인 홀로서기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전국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, 아이들이 환경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도록 관련 검사를 강화하고, 예체능 교육비 지원도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또, 13세 이상 아동은 개인공간을 주고 장보기와 요리, 여행 등 '개인적 일상'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대합니다. <br /> <br />취업준비지원금은 대학 미진학자까지 확대하고, <br /> <br />자립 준비 기간엔 주거비로 월 최대 20만 원과 상해보험 가입, 병원 동행 서비스를 새로 지원하며 <br /> <br />자립 뒤에도 민간 'SOS 자금'을 만들어 위기 상황 시 긴급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선순 / 서울시 여성가족실장 : (자립준비기간 5년 외에) 자립준비청년 이전 단계에서부터 자립준비청년 이후 실제 자립청년으로 법적인 보호는 못 받는 그 이후까지도 저희가 좀 챙겨보겠다….] <br /> <br />아울러 자립준비청년들이 서로 돕기 위한 여러 모임을 강화해, 보호나 지원 종료 뒤에도 사회적 관계 단절로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울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72421064631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